
뉴질랜드가 미래 세대의 흡연을 막기 위한 과감한 금연정책을 발표했다.
특히 다음 세대에게 담배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도 내놓았다. 내년 법이 제정되면 2008년 이후 출생자는 성인이 돼도 담배나 담배 상품을 구매할 수 없을 전망이다. 아이샤 베랄 보건부 차관은 “젊은이들이 아예 흡연을 시작하지 않도록 하고 싶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뉴질랜드 보건부가 9일 발표한 대대적인 금연대책의 일환이다.
뉴질랜드 내 의사들을 비롯한 의학 전문가들은 담배에 대한 접근성을 줄이고 니코틴 수치를 제한하는 조치가 “세계를 선도”하는 개혁안이라며 환영했다. 오타고 대학 자넷 후크 교수는 이번 조치가 “사람들이 담배를 끊거나 덜 해로운 제품으로 바꾸는 데 도움을 주고 젊은이들이 니코틴 중독에 빠질 가능성도 크게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뉴질랜드 국민은 이번 정책에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남성은 로이터 통신에 “정말 좋은 조치라고 생각한다”며 “많은 아이들이 담배를 피운다. 어떻게 아이들이 담배를 가졌는지 궁금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나도 담배 살 돈을 절약할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담배 암시장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뉴질랜드 보건부 역시 성명을 통해 공식적으로 이러한 위험을 인정하고 “세관이 국경 통제를 시행하기 위해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지역 편의점 로비단체 다이어리비즈니스오너스 그룹을 이끄는 써니 카우샬 회장은 뉴질랜드 현지 언론에 “이 모든 조치는 이론이 100%이며, 실현 가능성 0%”라며 비판했다. 그는 “범죄 파동이 일어날 것이고, 갱단과 범죄자들이 그 공백을 메울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뉴질랜드는 2025년까지 흡연율을 5%로 줄이고자 한다. 현재 뉴질랜드 성인의 약 13%가 흡연자다. 특히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 원주민들의 흡연 비율은 30%를 넘으며 급증하고 있다. 이들 마오리족은 흡연으로 인한 질병과 사망률 역시 평균보다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