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심혈관 질환자 74만 명의 진료 기록을 학습해 인공지능 AI를 개발한 후 향후 건강 상태를 예측했더니 정확도가 90%에 이른다고 합니다. 앞으로 동네병원이나 지역 보건소 등의 의사들에게도 적절한 맞춤형 치료법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형병원들은 환자들의 의료 관련 상세 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보관합니다. 담당 의사는 이를 동일 질환을 앓는 환자 치료에 참고 자료로도 활용합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3개 종합병원의 심혈관 환자 74만 명의 진료기술을 인공지능에 학습시켜 대형 서버에 구축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이 인공지능 정보에 의존해 환자의 미래 건강 상태를 예측한 결과 진단 정확도가 90%를 기록했습니다. [최재훈/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향후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에 매우 훌륭하게 이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 협진 기술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참조하면 동네병원이나 지역 보건소를 비롯해 진료 경험이 적은 의사들도 최적의 처방이나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김영학/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 : “좀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자 질병의 정도, 또 진단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리라 봅니다.”] 또 다른 질환으로도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승환/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이것을 암이나 다른 질환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연구소기업에서 추진할 계획입니다.”]